다시 고개 드는 민간투자사업의 취득세 감면
페이지 정보
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4-06-07 08:50관련링크
본문
[대한경제=정석한 기자] 최근 경기침체 장기화, 원자재값 인상, 고금리에 따른 자금조달 경색 등 영향으로 SOC(사회기반시설) 건립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‘민간투자사업’의 취득세를 지속 감면해 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.
6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민간 사업자의 부담을 덜기 위해 정부가 도입한 민간투자사업의 취득세 감면(50%) 조치가 올해 말 종료를 앞두고 있다.
민자사업 취득세 감면 조치는 2015년 글로벌 경제 둔화와 메르스(중동호흡기증후군) 사태 등으로 한국경제가 침체하자 정부가 내놓은 민간사업 활성화 방안 중 하나다.
정부는 당시 지방세특례제한법 제73조 2항의 ‘기부채납용 부동산 등에 대한 감면’ 조항을 신설하고,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간 민자사업의 취득세를 100% 면제한 데 이어 2021년까지 이 조치를 연장했다.
그리고 2022년부터는 현재까지 취득세 50% 경감 혜택을 주고 있다.
건설업계에서는 민자사업에 취득세를 부과하면 사업비용 상승, 수익성 하락이 불 보듯 뻔해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.
건설업계 관계자는 “민자사업은 사업발굴을 위해 초기비용이 많이 투입되는 만큼, 정부의 각종 지원이 절실하다”며 “게다가 취득세가 늘어나면 도로, 철도 등 사용료 인상이 불가피해 국민부담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”고 주장했다.
최근 건설경기 침체와 재정긴축 기조에서 SOC의 적기공급을 위해서는 민자사업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. 때문에 취득세 감면 조치는 2025∼2027년 3년간 지속돼야 한다는 게 건설업계 분석이다.
실제로 취득세 감면 연장은 민자사업의 활성화를 유도해 실물경제 회복에 기여하고 있다.
민자사업은 재정사업에 비해 공사비 절감은 물론, 공사기간도 40% 짧은 등 효율성이 높아 실물경제 회복에 미치는 영향도 클 수밖에 없다.
민자사업의 경제성장, 재정절감, 국민편익 증가 효과는 정부에서도 인정했다.
국회예산정책처 분석(2009년)에 의하면 민자사업은 GDP 0.241% 성장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. 민자사업에 10조원 투자 시, GDP가 2조4000억원 증가한다는 뜻으로 해석된다.
국회예산정책처는 “특히 경기침체기에서 경기부양 대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민자사업은 이러한 성장효과를 통해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”고 밝혔다.
정석한 기자 jobize@
〈ⓒ 대한경제신문(www.dnews.co.kr), 무단전재 및 수집, 재배포금지〉
6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민간 사업자의 부담을 덜기 위해 정부가 도입한 민간투자사업의 취득세 감면(50%) 조치가 올해 말 종료를 앞두고 있다.
민자사업 취득세 감면 조치는 2015년 글로벌 경제 둔화와 메르스(중동호흡기증후군) 사태 등으로 한국경제가 침체하자 정부가 내놓은 민간사업 활성화 방안 중 하나다.
정부는 당시 지방세특례제한법 제73조 2항의 ‘기부채납용 부동산 등에 대한 감면’ 조항을 신설하고,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간 민자사업의 취득세를 100% 면제한 데 이어 2021년까지 이 조치를 연장했다.
그리고 2022년부터는 현재까지 취득세 50% 경감 혜택을 주고 있다.
건설업계에서는 민자사업에 취득세를 부과하면 사업비용 상승, 수익성 하락이 불 보듯 뻔해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.
건설업계 관계자는 “민자사업은 사업발굴을 위해 초기비용이 많이 투입되는 만큼, 정부의 각종 지원이 절실하다”며 “게다가 취득세가 늘어나면 도로, 철도 등 사용료 인상이 불가피해 국민부담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”고 주장했다.
최근 건설경기 침체와 재정긴축 기조에서 SOC의 적기공급을 위해서는 민자사업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. 때문에 취득세 감면 조치는 2025∼2027년 3년간 지속돼야 한다는 게 건설업계 분석이다.
실제로 취득세 감면 연장은 민자사업의 활성화를 유도해 실물경제 회복에 기여하고 있다.
민자사업은 재정사업에 비해 공사비 절감은 물론, 공사기간도 40% 짧은 등 효율성이 높아 실물경제 회복에 미치는 영향도 클 수밖에 없다.
민자사업의 경제성장, 재정절감, 국민편익 증가 효과는 정부에서도 인정했다.
국회예산정책처 분석(2009년)에 의하면 민자사업은 GDP 0.241% 성장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. 민자사업에 10조원 투자 시, GDP가 2조4000억원 증가한다는 뜻으로 해석된다.
국회예산정책처는 “특히 경기침체기에서 경기부양 대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민자사업은 이러한 성장효과를 통해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”고 밝혔다.
정석한 기자 jobize@
〈ⓒ 대한경제신문(www.dnews.co.kr), 무단전재 및 수집, 재배포금지〉